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로바이러스 증상부터 치료 예방법까지 알아보기

by 맹구냥 2025. 2. 11.

안녕하세요

요즘 노로바이러스가 10년 만에 최고 유행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영유아 환자의 비중이 높아서 보건당국에서는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관련 시설의 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고 합니다.

오늘은 노로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노로바이러스란

노로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 위장염으로 나이와 무관하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입자의 크기가 27~40mm 정도이고, 60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감염성이 유지될 정도로 강한 바이러스입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는 번식력이 떨어지지만 노로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오히려 활발하게 활동하여 겨울철 식중독의 주된 원인입니다.

감염자의 대변 또는 구토물에 의해서 음식이나 물이 오염될 수 있고,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의 표면에서도 바이러스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소량의 바이러스만 있어도 쉽게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으며, 전염성은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에 가장 강하고, 회복 후 3일에서 길게는 2주까지도 전염성이 유지된다고 합니다.

보통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식품이나 음료를 섭취하여 감염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생굴을 먹고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소식을 많이 접합니다.

 

2. 노로바이러스 증상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평균 12시간에서 48시간의 잠복기를 가진 후 증상이 발현됩니다.

보통 오심, 구토, 설사의 증상이 발현되며, 증상은 24시간에서 60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나 보통은 48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고 빠르게 회복합니다.

영유아 환자들은 구토를 하는 경우가 잦고, 성인들은 설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도 두통, 발열, 오한 및 근육통과 같은 전박전인 신체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몸살감기와 소화불량이 같이 오는 느낌이라고도 합니다.

발열은 절반의 환자에서 발생하며, 물처럼 묽은 설사를 하루에 4번~8번 정도 보기도 합니다.

노로 바이러스 장염은 소장에 염증을 일으키지는 않기 때문에 피가 섞이거나 점액성의 설사는 아니니 그 경우 다른 질병일 수 있으니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3. 노로바이러스 진단 및 치료 방법

  • 진단
    노로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으로 단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발생하는 비세균성 위장염의 경우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환자의 토사물이나 분변 등의 검체에서 노로바이서르에 특이적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시행하여 바이러스 핵산을 검출하거나 효소면역법(ELISA)으로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검출하여 확인합니다. 최근에는 현미경을 이용하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치료 방법
    노로바이러스는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회복됩니다. 노로바이러스에 특수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습니다. 다시말해 노로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구토와 설사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분을 공급하여 탈수를 방지하는 보존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스포츠 이온 음료로 부족해진 수분을 채울 수 있으며, 설탕이 많이 포함된 탄산음료나 과일주스는 피해야 합니다. 심한 탈수의 경우는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토나 설사가 심한 경우 추가적인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과도한 구토로 경구 수액공급이 어려울 때에는 항구토제를 사용한 후 경구 수액공급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노로바이러스는 대부분 일시적 증상을 보이고 저절로 회복되므로 대부분 외래에서 치료를 받지만 합병증 위험이 높은 노인, 임산부, 당뇨환자나 증상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환자의 경우 입원치료를 받기도 합니다.

4. 노로바이러스 예방법

노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손위생이 가장 중요합니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하며, 특히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 또는 음식을 준비하기 전에는 더욱 신경씁니다.

과일과 채소도 세척을 철저히 한 후 섭취해야합니다. 물은 끓여서 마시는 것이 좋으며, 음식물은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감염자의 옷과 이불은 세탁해야하며, 회복 후에도 3일 동안은 음식 준비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